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에 따라 크게 정보형 메시지와 설득형 메시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보형 메시지(객관적)
: 정보형 메시지는 정보 자체만을 전달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는 사람의 이해와 활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의 노선도 혹은 날씨를 정리한 날씨 지도 정도가 정보형 메시지가 될 수 있겠죠.
정보형 메시지와 관련하여, 에드워드 터프티(Edward Tufte)는 '한 페이지에 쓰인 잉크의 양은 그 페이지에 인쇄된 정보의 양과 비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정보 외에 불필요한 요소는 배제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설득형 메시지(흥미적)
: 설득형 메시지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더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는 사람의 태도 혹은 행동의 변화를 유도함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음식이 부족하여 굶어가는 사람들에 대한 내용을 포스터로 제작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자는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겠죠.
설득형 메시지와 관련하여, 나이젤 홈즈(Nigel Holmes)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사람에게 흥미를 주는 요소들을 활용할 때에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